코디잉

Workbench 사용해서 Table 만들기 본문

DB/MySQL

Workbench 사용해서 Table 만들기

yong_ღ'ᴗ'ღ 2022. 11. 8. 02:48

SQL을 사용해서 Table을 생성해도 되지만, workbench를 사용해서 GUI  기반으로 테이블을 생성해보자

 

① 테이블을 생성할 스키마의 Tables에서 우클릭 > [Create Table...] 클릭

 

② 정보 입력 후, [Apply]

- Table Name을 입력해준다.

- Charset/Collation은 Default로 놔두면 basic Schema의 Charset/Collation을 상속받아서 utf-8로 적용될 것이다.

  → 잘못 설정해두면 한글/이모티콘 깨짐

- Column Name, Datatype, Option 설정한 다음에, [Apply] 클릭

 

   +) option: PK, NN, AI 많이 사용함

       PK: Primary Key

       NN: Not Null

       UQ: Unique (Null은 가능하지만, row마다 값 중복되면 X)

       B: Binary

       UN: Unsigned → 숫자 입력할 때 Unsigned 사용

                                         UNSIGNED 속성 부여하면 음수값 대입하지 못하고, 양수에서 대입 가능한 값이 늘어난다.

       ZF: Zero Fill → 설정한 자릿수보다 적게 들어오면 남은 자릿수를 0으로 채운다.

                                      ZEROFILL 속성 부여하면 자동으로 UNSIGNED 속성이 붙어서 양수만 저장할 수 있게 된다.

       AI: Auto Increment → ex) 0부터 시작해서 자동으로 1, 2, 3, 4 늘어나는 거

                                                    저장할 데이터를 넣어주지 않아도 MySQL 서버에서 알아서 데이터 증가시켜줌

       G: Generated Column

       Default: 디폴트 값 설정

 

③ 팝업의 SQL 구문 확인 뒤, 문제없으면 Apply > Finish

 

 

테이블 생성은 완료!

테이블 생성 후, 생성된 테이블에서 우클릭 > [Select Rows - Limit 1000] 클릭해보자

      +) Select Rows - Limit 1000: 1000개의 데이터를 뽑겠다는 의미

 

 

지금은 아래 사진과 같이 당연히 아무 내용도 나오지 않는다.

테이블에 넣은 데이터가 없기 때문!

 

 

'DB > My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Workbench] auto-commit 해제  (0) 2022.11.08
[MySQL] LIMIT와 OFFSET  (0) 2022.11.08
Schema 생성하기  (0) 2022.11.08
Oracle - MySQL 데이터타입  (1) 2022.11.08
Workbench로 새로운 Connection 만들기  (2) 2022.11.07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