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디잉
[혼공컴운]_1주차_Chapter 01~03 본문
📘 책: 『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+운영체제』
🗓️ 기간: 1주차
📍 범위: Chapter 01 ~ Chapter 03
🧠 Chapter 01 | 컴퓨터 구조 시작하기
✅ 컴퓨터란?
-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계
- 컴퓨터 구조는 크게 2가지로 구성됨
-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: 데이터, 명령어
- 컴퓨터의 4대 핵심 부품:
- CPU (중앙처리장치)
- 메모리 (주기억장치)
- 보조기억장치
- 입출력장치
🔧 CPU
- 컴퓨터의 두뇌 역할
- 명령어를 읽고 → 해석하고 → 실행
주요 구성 요소
- ALU (산술논리연산장치)
- 레지스터
- 제어장치
💾 메모리
-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
-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반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.
- 휘발성: 전원 꺼지면 데이터 사라짐
- 가격 ↑, 저장용량 ↓
🗃️ 보조기억장치
- 비휘발성 저장장치
-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 유지
🖱️ 입출력장치
-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
- 예: 키보드, 마우스, 프린터 등
🔗 시스템 버스
- 위의 4가지 핵심 부품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통로
🧮 Chapter 02 | 데이터
✅ 기본 개념
- 비트: 0과 1로 표현되는 최소 단위
- 2의 보수: 음수 표현 방식
- ① 0과 1 뒤집기 → ② 1 더하기
- 부호 플래그로 양수/음수 구분
🔡 문자 표현
- 유니코드: 여러 나라의 문자를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는 통일된 문자 집합
- 인코딩 방식: UTF-8, UTF-16, UTF-32
💡 Chapter 03 | 명령어
✅ 언어의 분류
- 컴파일 언어: 컴파일러에 의해 소스 코드 전체가 저급 언어로 변환되어 실행되는 고급 언어
- 예: C
- 오류 1개만 있어도 전체 실패
- 인터프리터 언어: 인터프리터에 의해 소스 코드가 한 줄씩 저급 언어로 변환되어 실행되는 고급 언어
- 예: Python
-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차례로 실행한다. N번째 줄에 오류가 있더라도 N-1번째 줄까지는 수행된다.
⚙️ 명령어 구성
- 연산 코드 (Operation Code): 수행할 연산 (연산자)
- 오퍼랜드 (Operand):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or 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(피연산자)
- 피연산자는 없을 수도, 여러 개일 수도 있음
- 보통은 메모리 주소나 레지스터 이름 형태로 명시
📦 [자료구조] 스택과 큐
자료구조 | 설명 | 방식 |
🗂️ 스택(Stack) | 한쪽이 막힌 구조 | 후입선출 (LIFO) : 나중에 저장한 데이터를 가장 먼저 빼내는 데이터 관리 방식 |
📬 큐(Queue) | 양쪽이 열린 구조 | 선입선출 (FIFO) : 가장 먼저 저장된 데이터부터 빼네는 데이터 관리 방식 |
📘 [문제 풀이]
📌 p.51 확인문제 3번
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반드시 (메모리)에 저장되어 있어야 합니다.
📌 p.65 확인문제 3번
Q. 1101(2)의 음수를 2의 보수 표현법으로 구하기
1 1 0 1
↓ (모든 0과 1 뒤집기)
0 0 1 0
↓ (1 더하기)
0 0 1 1
정답: 0011(2)
'Reading >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+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혼공컴운]_3주차_Chapter 06 ~ 08 (3) | 2025.07.20 |
---|---|
[혼공컴운]_2주차_Chapter 05 (0) | 2025.07.13 |
[혼공컴운]_2주차_Chapter 04 (0) | 2025.07.13 |
Comments